- 공공디자인 도시를 바꾼다]<5·끝>상징과 생산성
-
공공디자인 도시를 바꾼다]<5·끝>상징과 생산성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를 통틀어 이미지 통합(CI)작업을 하지 않고 캐릭터도 갖지 않은 지자체는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전국 250여개 지자체 CI의 절반 이상이 교체 대상일 정도로 대부분의 지자체 CI는 촌스럽거나 특색 없는 것들”(정석원 엑스포디자인연구소 사장)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지자체 CI가 왜 이 모양인가. 지난해 모 지자체의 향토축제 포스터 작업을 맡았던 디자이너 S씨는 “어떤 디자인이 미적으로 뛰어나며 행사 내용을 잘 표현하느냐는 점보다 단체장의 의중을 우선시하는 풍토 때문”이라고 말했다. 결재 단계를 밟아갈 때마다 “이 색깔은 단체장이 싫어하니까 써서는 안 된다”거나 “단체장이 이 점을 강조하라고 했으니 크게 해 달라”는 등의 주문이 계속되더라는 것이다.》
지자체의 CI가 단체장의 ‘자기 과시용’ 쯤으로 치부되다 보니 ‘디자인’이라고 말하기조차 부끄러운 엉터리 CI들이 양산되고 있다. 그것은 지자체 CI 바람이 1995년 단체장 직선제 실시 후부터 생겨났다는 사실로도 입증할 수 있다. 단체장이 바뀔 때마다 CI가 교체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 때문에 디자인업계는 지방선거 직후마다 반짝 특수를 누리곤 한다. 여기에 캐릭터 개발을 통해 수익사업을 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막연한 ‘벤처의식’도 지자체 CI 바람을 부추겼다.
지자체 CI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기업체 CI가 인지도 ...
출처 : Daum 신지식
글쓴이 : bebe_-_님 원글보기
메모 :
'도시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공공디자인 - 기능과 미관의 조화 (0) | 2009.04.18 |
---|---|
[스크랩] 금오아시아나 신사옥 (0) | 2009.04.18 |
[스크랩] 어반 하이브(Urban hive) (0) | 2009.04.18 |
[스크랩] LG 텔레콤 사옥 - 직원 입맛대로 (0) | 2009.04.18 |
[스크랩] 도시디자인이란? (0) | 2009.04.18 |